본문 바로가기

SpartaCodingClub_개발일지/TIL

0916 [웹 프로그래밍 A-Z 심화~1주차, Github] TIL

반응형

<Github>

- Git 이란? 쉽게 말해 버전을 관리해주는 시스템이다.

    - Github는 Git의 원격저장소 + 커뮤니티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gitlab, bitbuket 도 비슷한 서비스이다.

 

- Git을 활용하면

    1. 변경 사항을 버전으로 정리가 가능하다. 

        - 변경 사항을 비교해볼 수 있으며, 원하는 시점으로 롤백도 가능하다.

        - git diff

    2.  여러 사용자들과의 협업이 용이해진다.

        - branch, pull request(merge) 등

 

- git commit: 현재 프로젝트의 상태를 저장하고 조회할 수 있다.

    - 누가, 언제, 무엇을 저장했는지 log나 history로 기록이 남는다.

 

- git push: 로컬 저장소의 commit들을 원격 저장소에 반영하는 것.

 

- git pull: 원격 저장소의 commit들을 로컬 저장소에 반영하는 것.

 

- issue: 어떤 작업을 누가 할 것인가!

    - 버그 있는데 이슈에 등록해 놓겠다! --> 보고 누군가 고치면 된다. --> 이슈 해결

 

- branch: 각자 맡은 것을 작업한다.

    - 예를 들어 김치찌개를 만드는 사람과 김치찜을 만드는 사람이 같은 냄비에서 요리를 한다면? 끔찍하다.

    - 이를 방지하기 위해 김치찜 branch와 김치찌개 branch를 나누어 작업하는 것이다.

 

-merge: 각자 작업한 것을 합친다.

    - 위에서 김치찜 요리와 김치찌개 요리를 한 식탁에 합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 merge 전에 PR(Pull Request) 를 진행한 후에 merge 한다.

        - merge해도 될지 허락받는 과정이라고 보면 쉽다. 

 

<웹 프로그래밍 A-Z 심화~1주차>

- datetime : 년, 월, 일, 시, 분, 초를 쓸 수 있는 라이브러리

- mytime = today.strftime('%Y-%m-%d-%H-%M-%S초')

    --> mytime = today.strftime('%Y년 %m월 %d일 %H시 %M분 %S초') 라고 쓰면 오류가 났다.

    --> 이유 : 인코딩 문제인 것 같다.

    --> 해결 : '~초' 뒤에 .encode('unicode-escape').decode()).encode().decode('unicode-escape') 을 붙인다.

    mytime = today.strftime('%Y년 %m월 %d일 %H시 %M분 %S초'.encode('unicode-escape').decode()
                               ).encode().decode('unicode-escape')

- f string : 문자열 안에 변수를 효율적으로 넣을 수 있다.

- ex)

        name ='홍길동'
        age='30'
        hello=f'제 이름은 {name}입니다. 나이는 {age}입니다.'

        --> 제 이름은 홍길동입니다. 나이는 30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