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문제
1. 사용자 계정 만들기
2. 사용자이름의 디렉토리 아래에 document, download, workspace, bin 4개의 디렉토리 생성
3. workspace 디렉토리 아래에 hello.txt파일 만들기(사용자 계정으로 생성하여, 파일의 권한이 사용자가 되도록 파일 생성)
1. 사용자 계정 추가
#adduser th(user name)
-빨간 상자에 유의하여 유저를 생성하여 준다.
2. 디렉토리 생성
#mkdir /home/th/bin/ /home/th/document/ /home/th/download
$mkdir /home/th/workspace
-root 계정으로 bin, download, document 3개의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user계정으로 변경한뒤 workspace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3개의 디렉토리와 workspace 디렉토리의 소유자와 소유그룹이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외의>
#mkdir -p /th/document /th/download/ /th/workspace/ /th/bin
-mkdir: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명령어
<옵션>
-p: 이 옵션은 한번에 여러개의 디렉토리를 생성할 수 있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새로운 th 디렉토리와 th밑에 first 디렉토리를 한번에 만들고 싶을 때 사용하는 옵션이다.
-디렉토리 생성 후에 조회 결과를 보면 4개의 디렉토리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디렉토리의 소유권 변경
#chwon -R th /th/workspace
-사진2의 두번째 네모를 보면 workspace 디렉토리의 소유권이 root에게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계정으로 workspace에 hello.txt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workspace의 소유권을 th로 바꾸어 주어야 한다.
-따라서 소유권을 변경하는 명령어인 chown과, 소유권을 변경하려는 것이 파일이 아닌 디렉토리이기 때문에 -R 옵션을 사용한다.
-명령어를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1. chown : 소유권을 변경하라
2. -R : 디렉토리의
3. th : th 계정의 소유권으로
4. /th/workspace/ : /th/workspace/ 디렉토리의 권한을
============================================================================
*소유권 변경 방법에 관하여
0. 구조
- 분홍색선: d = 디렉토리, - = 파일
- 파란색선: 소유자, 소유자의 권한 표기
- 연두색선: 소유그룹, 소유그룹의 권한 표기
- 노란색선: 소유자가 아닌 다른 user의 권한 표기
- r: read- 열람할 권한 / w: write- 작성할 권한 / x: exec- 실행할 권한
1. 소유권 변경 (chmod 명령어)
1-1 영문으로 변경
-$ chmod u-x test : test 디렉토리(test)의 소유자(u)의 x권한(x)을 제거하라(-)
-$ chmod go+rwx text: test 디렉토리의 소유그룹과 소유자가 아닌 사람의 r,w,x권한을 추가하라
-u: 소유자/ g: 소유그룹 / o: others
- (+/-) : 추가/제거
- r/w/x : 열람/작성/실행 권한
1-2 이진수로 변경
-r=₂² w=₂¹ x=₂⁰
-ex) rw- (110): 4+2=6 rwx(111)=4+2+1=7 r--(100)=4 --x(1)=1 -w-(10)=2
1-3 실습
1) 영문으로 변경
2) 이진수로 변경
4. hello.txt 파일 생성하기
#su th
$touch workspace/hello.txt
-th계정으로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su 명령어를 사용하여 사용자를 변경한다.
-/th/workspace/ 아래에 hello.txt를 생성한다. 하지만 현재 위치가 /th/ 이기 때문에 상대경로로 간단히 작성하였다.
-/th/workspace/를 조회하면 hello.txt가 th의 권한으로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oud_2020'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Debian, nginx, php 설치 및 웹 (0) | 2020.05.27 |
---|---|
3. nginx 설치하기, nano editor 설치, 파일 작성 (0) | 2020.05.20 |
1. Docker_Ubuntu_Mysql 설치 (0) | 2020.05.14 |